애플 노트 하나로 PARA와 Zettelkasten, 가능한가요?
애플 노트 하나로 PARA와 Zettelkasten, 가능한가요?
시작은 심플함이었다
다른 노트 앱을 쓰다가 결국 애플 노트로 돌아왔다.
빠르고, 가볍고, 모든 기기와 자동으로 연동되며,
무엇보다 구조화도 가능하다.
게다가 최근엔 링크, 태그, 폴더 기능까지 강화되면서
Zettelkasten과 PARA 시스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해졌다.
PARA 시스템, 애플 노트로 이렇게 썼다
PARA = Project / Area / Resource / Archive
정보를 ‘행동 기반’으로 정리하는 프레임워크
1. Project
- 당장 진행 중인 작업
- 예: 캠페인 기획, 논문 준비, 블로그 연재
- 폴더명:
📂 Projects
2. Area
- 계속 유지되는 책임 영역
- 예: 건강관리, 재정, 자기계발
- 폴더명:
📁 Areas
3. Resource
- 참고자료, 영감, 기록들
- 예: 스크랩, 강연 노트, 인터뷰 요약
- 폴더명:
📚 Resources
4. Archive
- 완료되었거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항목
- 예: 종료된 프로젝트, 과거 노트
- 폴더명:
🗃 Archives
Zettelkasten은 연결이다
Zettelkasten은 메모를 ‘쌓는 것’이 아니라
노트 간의 연결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걸 애플 노트에서 가능하게 한 건,
링크 기능의 도입 때문이다.
내가 쓰는 방식
-
생각이 떠오르면 Reminder의 INBOX에 바로 기록
→ 태그:
#fleeting,#idea -
정리가 되면
→
#literature/#permanent태그로 이동→ 제목:
230326_문장 연결의 기술 -
다른 노트와 연결
→ 링크 삽입으로 유사 개념 노트에 연결
→ 한 문장에서 다른 생각으로 확장되는 구조
정리 포인트
-
>>링크는 애플 노트 내부 노트 간 연결을 가능하게 함 (업데이트 되어 편해졌다) -
#태그는 검색성과 분류를 높여줌 -
링크는 Zettel의 핵심이다.
단절되지 않는 생각들이 구조를 만든다.
PARA + Zettelkasten = 연결되는 지식 시스템
(여기 왜 표가 안되냐.. 어렵다..)
| 구분 | PARA | Zettelkasten |
|---|---|---|
| 목적 | 정보의 정리 | 생각의 연결 |
| 구성 | 프로젝트/영역/자료/보관 | 개별 노트의 네트워크 |
| 사용법 | 폴더 기반 | 링크 기반 |
이 둘은 서로 대체되지 않는다.
정리는 PARA,
확장은 Zettelkasten이 맡는다.
실제 애플 노트 폴더 구조 (예시)
📂 Projects – 진행 중
📁 Areas – 지속 관리
📚 Resources – 참고 (📒 Zettels – 연결 노트)
[Resources 안에 Zettel의 형태로 보관한다.)
🗃 Archives – 보관
#idea, #fleeting, #literature, #permanent 태그 정리
꿀팁!애플 노트에서 공유 버튼을 눌러, 링크를 생성 한 뒤 리마인더의 URL에 붙여넣기하면, 곧바로 리디렉트 되는 버튼이 생성된다!
마무리하며
애플 노트는 화려하진 않다.
하지만 기본에 충실하고, 확장성도 생겼다.
복잡한 지식 시스템도,
결국은 단순한 구조 위에서 더 잘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