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리마인더·노트·캘린더를 연결해 하나의 생산성 시스템으로 만드는 법

 

애플 리마인더·노트·캘린더를 연결해 하나의 생산성 시스템으로 만드는 법


생산성은 ‘분산’보다 ‘연결’에서 시작된다

툴이 많을수록 좋을 것 같지만,

진짜 중요한 건 각 도구의 역할이 명확하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가다.

애플 리마인더, 노트, 캘린더는

각각 단순한 기능을 가진 듯 보이지만,

제대로 연결되면 Capture → Plan → Do → Reflect 전 과정을 다 커버할 수 있다.


세 가지 앱의 역할 정리

역할 핵심 기능
리마인더 할 일 관리 GTD, 태그, 스마트폴더
캘린더 시간 배치 일정, 시간 블로킹
노트 정보 정리 PARA, Zettelkasten, 아이디어

1. 리마인더에서 해야 할 일을 잡고

  • 하루를 시작하면 On Calendar, Do, Next Action 폴더를 확인한다.
  • #Calendar, #Do, #NA 태그가 붙은 항목들이 자동으로 정리되어 있음.
  • 그 중 중요한 일은 ‘캘린더에 박는다.’

2. 캘린더에 실제 시간을 확보한다

  • 일정만 적는 게 아니라, 실행할 일의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 리마인더에서 #Calendar 태그가 있는 항목을 보고

  • 애플 캘린더에 시간 블록을 만들어 넣는다.

    예: "Zettelkasten 글쓰기" → 오전 10:00~11:00 예약

이렇게 하면 그 시간엔 아무 것도 고민하지 않고 바로 실행할 수 있다.


3. 실행 중 필요한 정보는 노트에서 꺼낸다

  • 실행 중 참고해야 할 자료, 링크, 아이디어가 있다면

  • 애플 노트의 Resource 폴더나 Zettels에서 연결된 노트를 연다.

  • 리마인더 할 일에 노트 링크를 직접 붙여두면 더 편하다.

    예:

    • 할 일 제목: “PARA 글 정리하기”
    • 메모에: @노트링크 붙여두기

이러면 할 일을 클릭했을 때 바로 관련 노트로 연결됨.


4. 특정 상황에서 할 일을 찾는다

  • 리마인더에서 Priority, Context, Time 등 특정한 상황으로 리마인더를 분류해 두었다.
  • 특정한 상황에 놓였을 때, 해당 분류에서 작업을 찾아 진행하면 된다.

5. 완료 후, 다시 노트로 정리한다

  • 완료된 할 일 중 의미 있었던 것들은

    Zettelkasten으로 확장,

    PARA Archive로 이동

    → 또는 별도 회고 노트에 기록

  • 리뷰는 금요일(주간), 월말(월간)에 진행

  • 애플 노트에서 텍스트 기반으로 회고하며 구조화


실제 하루 예시

시간 액션
08:30 리마인더 오늘의 Do 확인 → 실행 리스트 구성
09:00 캘린더 ‘글쓰기’ 시간 블로킹
09:10 노트 리마인더 항목에 연결된 노트 열기
11:00 리마인더 완료 체크 → Weekly Review로 이동
17:00 노트 당일 기록/아이디어를 회고 노트에 정리

마무리하며

이 세 가지는 겉보기엔 단순한 앱들이지만

구조와 연결만 잘 잡으면 완성도 높은 생산성 시스템이 된다.

  • 리마인더: 구조화된 할 일
  • 캘린더: 실행을 위한 시간
  • 노트: 의미를 담는 지식

이렇게 삼각형이 완성되면

툴을 넘나들며 방황할 필요 없이

당장 오늘 해야 할 일을 바로 실행에 옮길 수 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플 캘린더/미리알림 연동으로 GTD 할 일 관리

세종 도시광장 전체 구간 개방 소식

내수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 시장 전망 악화